Journal Archive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 Vol. 36 , No. 5

[ CLINICAL REPORT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 Vol. 36, No. 5, pp. 193-208
Abbreviation: J Physiol & Pathol Korean Med
ISSN: 1738-7698 (Print) 2288-2529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25 Oct 2022
Received 20 Jan 2022 Revised 08 Oct 2022 Accepted 21 Oct 2022
DOI: https://doi.org/10.15188/kjopp.2022.10.36.5.193

한의학 변수들의 반복측정시 변동량에 대한 수학적 모형 제안 및 교육에의 적용 가능성
정하영 ; 권영규1, * ; 김창업*
가천대학교 한의과대학 생리학교실
1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양생기능의학교실

Proposal of a Mathematical Model for Variations in Repeated Measurement of Korean Medicine Clinical Variables and its Applicability to Education
Hayeong Jeong ; Young-Kyu Kwon1, * ; Chang-Eop Kim*
Department of Physi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Gachon University
1Division of Longevity and Biofunctional Medicine,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Young-Kyu Kwon, Division of Longevity and Biofunctional Medicine,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49, Busandaehak-ro, Mulgeum-eup, Yangsan-si, Gyeongsangnam-do, 50612, Republic of Korea ·E-mail : kwon@pusan.ac.kr ·Tel : +82-51-510-8471
Correspondence to : Chang-Eop Kim, College of Korean Medicine, Gachon University, 1342 Seongnamdaero, Sujeong-gu, Seongnam-si, Republic of Korea ·E-mail : eopchang@gachon.ac.kr ·Tel : +82-31-750-5493


Ⓒ The Society of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The Physiological Society of Korean Medicine
Funding Information ▼

Abstract

In this study, we proposed a mathematical model that can explain the source of the observed variability of repeated measurement data collected in Korean medicine clinical practice, and conducted a pilot analysis to infer the source of these variability based on our model. Mathematical model was constructed by dividing the observed variations into three components: common time-dependent variations, signal shift, and measurement error. To show the applicability of our model in real data, we analyzed 20 repeated measurement data of Korean clinical indicators in graduate students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Korean Medicine. We showed how to infer each source of variations based on our model and also showed the limitation of inference given the acquired the dataset. On the basis of objective recognition of these source of the variability, we hope that quantitative investigations on these sources for each Korean medicine clinical indicator are made in the future, so that they can be used in the clinical and educational areas of Korean medicine.


Keywords: Korean medicine clinical indicators, Repeated measurements, Normal variability, Korean medicine education

서 론

의학에서 측정되는 모든 변수들은 변동성(variability)을 가지고 있다. 서양의학의 경우 일반적으로 정상 변동성(normal variability)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측정 값의 정상 범위(normal range)를 설정하고 이를 벗어나는 경우 이상치로 간주하여 이에 대한 임상적 조치를 취하게 된다. 즉, 측정된 변수가 이상치를 나타낼 경우 이는 직접적으로 병리적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추가적인 검사 등의 임상적 행위로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이 진행되기 위하여서는 특정 변수가 정상상태에서 보일 수 있는 변동성(variability)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여기엔 동일한 대상에 대한 측정 오차(measurement error)의 범위가 어느 정도인지, 생리학적 요인에 의해 변동 가능한 양상으로는 어떠한 것들이 있으며 그 변동량은 어느정도 인지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혈압 측정의 경우, 관찰되는 측정값은 표준측정 프로토콜에 수반되는 측정오차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신체활동 여부, 생리학적 주기 등 다양한 요소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1,2) 따라서 측정된 혈압의 올바른 해석 및 판단을 위하여서는 생리적 변동성에 대한 명확한 인식과 이해가 필요하다. 만약 생리적 변동폭이 표준 정상범위에 비하여 크다면, 실제 진료현장에서 기록된 혈압의 임상적 판단에 어려움이 따를 것이다.3)

서양의학에서 주로 이용되는 측정 값들에 비하여 한의임상에서 변증 진단을 위하여 측정되는 많은 변수들은 환자의 주관적 판단에 대한 의존성이 높을 뿐 아니라4), 단일 변수의 이상치가 직접적으로 병리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보다는 수집된 여러 변수들의 종합적인 패턴에 의하여 변증 진단이 이루어지므로5), 측정 변수들 각각의 정상적인 변동 범위가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객관적 인식이 부족한 경향이 있다. 한열(寒熱), 허실(虛實), 조습(燥濕) 등의 판단에 있어 특정 변수의 생리적 변동 범위와 병리적 범위에 대한 명확한 구분이 가능한 지도 논의의 여지가 있다6). 이는 서양의학에 비하여 한의학의 임상 및 교육과정에서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예를 들어, 맥진 측정과 설진 측정의 측정오차(measurement error)는 어느 정도인가, 다양한 생리학적 조건에 의하여 이들 변수들이 변동할 수 있는 정상 범위는 얼마나 될 것인가, 환자의 음수(飮水) 온도에 대한 선호도 조사 결과의 측정오차와 이들의 생리적 변동량, 변동 주기의 스케일은 어느 정도인가와 같이 명확하지 않은 부분이 많이 있다. 저자들이 인지하고 있는 바에 따르면 한의학 임상과 교육현장에서 한의학적 변수 측정 시 오차가 발생하는 원인을 체계적으로 나누어 파악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진 바가 없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의 필요성 역시 제대로 논의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의 임상에서 측정되는 변수들의 정상적 변동 현상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수학적 모형을 제안하고, 반복 측정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러한 변동량의 소스(source)를 추론하는 시범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단순화를 위하여 2회의 반복 측정 상황을 가정하여 관찰된 측정값의 차이가 소스 별 변동량의 합으로 분해 가능함을 모형화 하였다. 시범적 분석은 부산대 한의학전문대학원 재학생의 한의 임상 변수 별 응답 데이터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우리의 모형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향후 한의학 임상 및 교육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보다 구체화된 변수 별 각 소스의 변동량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1. 시범 분석 데이터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수학적 모형을 바탕으로 반복 측정 데이터에 나타나는 변동량의 소스 분석을 시범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부산대 한의학전문대학원의 2018년 3학년 2학기 필수임상실습Ⅰ, 2019년 4학년 1학기 필수임상실습 Ⅱ 과정 중 사상의학실습에 참여한 학생 45명이 제출한 ‘한의 시각 형 표준 차트 초진 기록지(v. 1.991)’(이하 ‘시각화 차트’ 라고 한다.)를 확보하였다(부록 1). 시각화 차트는 식사량, 구갈/음수, 대변 양상, 배변 특이증상 여부, 소변 양상, 배뇨 특이증상 여부, 발한 상태, 발한 상황, 수면시간, 수면이상증상, 오한오〮열을 측정하는 20개의 변수로 구성되며, 이들 변수 중 연속형 변수 14개 외 서열 변수(ordinal variable)가 6개가 포함되어 있으나(Table 3) 본 연구에서는 분석의 편의를 위하여 서열 변수 역시 연속형 변수로 취급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7) 20개 임상 변수에 대하여 6개월 간격으로 2회(시점 1과 시점 2) 반복 조사가 이루어졌으나 샘플 별로 측정 시점은 동일하지 않았다(부록 1).

45건의 시각화 차트 중 문항 응답의 누락률이 20% 이상인 5건은 분석에서 제외하였으며 20개의 임상 변수 중 무 응답률이 40%가 넘는 대변 색(Stool color)변수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최종적으로 19개 문항의 시각화 차트 40건). 분석 대상으로 포함된 차트 중 결측 값은 변수 별 평균 값으로 대체하였다. 모든 데이터 분석은 Python을 활용하였고, 사용 패키지로는 Python에서 데이터 조작과 분석을 위해 만들어진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인 Pandas 및 matplotlib 기반의 Python 시각화 라이브러리인 Seaborn을 사용하였다.

개인 정보보호와 연구 윤리에 대한 심의는 부산대학교 연구윤리위원회에서 심의 면제 승인(PNU IRB/2017_56_HR)을 받았다.

2. 통계적 분석

데이터 셋의 분포가 정규분포(Normal distribution)를 따르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Shapiro-Wilk test8) 정규성 검정을 실시했다. 변수 별 두 측정 시점의 측정 값 간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부트스트랩(N=100,000)을 적용하여 95% 신뢰구간을 비모수적으로 계산하였다(Table 4).9,10)


결 과
1. 한의학 변수 반복 측정 시 변동에 대한 수학적 모형

한의 임상 변수 y는 측정 시점(i=1, 시점 1; i=2, 시점 2)과 샘플(j=1,···,N)에 따라 정의되며 다음과 같은 요소들로 나눌 수 있다.

yij=μ+αi+βj+γij+εij(1) 

식 (1)에서 μ는 전체(샘플 별, 시점 별 포함) 측정 값들의 평균이며, αi는 i 측정 시점(i=1, 시점 1; i=2, 시점 2)에서의 시간 영향이고, βj는 샘플 j의 영향, γij는 시점 i와 샘플 j사이의 상호작용, εij는 랜덤 노이즈이다.

따라서 개별 샘플 j에 대해서 두 시점의 반복 측정에 대한 차이는,

y2j-y1j=α2-α1+γ2j-ε1j(2) 

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α21은 모든 샘플에 대하여 두 측정 시점이 차이가 나는 데서 기인한 공통된 변화량이고, γ2j1j는 두 측정 시점의 차이로 인해 생긴 각 샘플 j의 시그널 변화(signal shift)를 의미하며, ε2j1j은 개별 샘플 j의 두 측정 시점 차이의 요소 중 관측 오차(observational error)로 볼 수 있다. 여기서 α21는 N개의 샘플 측정 결과로부터 추정이 가능하다. 즉, 관측된 반복측정 데이터의 차이 값을 설명하는 세 가지 요소인 측정시점 차이에 의한 공통된 변화량 α21, 샘플에 특이적인 시그널 변화 γ2j1j, 그리고 관측 오차 ε2j1j 중, 측정시점에 의한 공통된 변화량 요소 α21는 통계적으로 추정 가능하며 남은 두 요소의 설명력을 구분하는 것은 추가적인 정보 없이는 어렵다. 이상의 모형에 따르면, 한의학 변수의 반복 측정 시 관찰된 전후 차이 값으로부터 통계적으로 추정된 α21를 제거함으로써(예를 들어 날씨의 변화에 따른 효과 등), 남은 요소 y2j-y1j-(α21)를 샘플에 특이적인 변수의 참값(parameter)의 변동(시그널 변화)과 관측오차가 합해진 결과로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 추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면 시그널 변화와 관측오차도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2. 시범적 분석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연구 대상자 전체 45명의 성별 분포는 여성 19명(42%), 남성 26명(58%)이었다. 평균연령 32.4세, 평균 신장은 여성 162.2cm, 남성 173.5cm이었으며, 평균 체중은 여성 52.8kg, 남성 72.3kg이었다.

대상자들의 평균 나이는 32.4세이며, 흡연자는 4명(9%), 비 흡연자는 41명(91%)이고, 음주자는 31명(69%), 비 음주자는 14명(31%)이며, 운동자는 30명(67%), 비 운동자는 15명(33%)이었다(Table 1).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N=45)
Characteristics Categories, n(%), Mean±SD, Median
Sex, n [%] Female Male
19 (42%) 26 (58%)
Height [cm] Mean (SD) Median [range] Mean (SD) Median [range]
162.15 162 173.45 173
(±4.53) [153.3-172.1] (±5.01) [165-183]
Weight [kg] Mean (SD) Median [range] Mean (SD) Median [range]
52.76 (±4.62) 52 [46-62] 74.80 (±9.67) 72.25 [56-100]
BMI [kg/㎡] Mean (SD) Median [range] Mean (SD) Median [range]
20.06 19.99 24.84 24.41
(±1.46) [16.70-22.77] (±2.79) [19.84-34.80]
Age [yr] Mean (SD) Median [range]
32.36 (±4.71) 31.00 [23.00 – 50.00]
Smoking yes no
4 (9%) 41 (91%)
Alcohol yes no
31 (69%) 14 (31%)
Physical activity Yes no
30 (67%) 15 (33%)
SD, standard deviation; BMI, body mass index.

Table 2. 
Non-response rate by variable (N=45)
Time points 1st time point
(pre), n(%)
2nd time point
(post), n(%)
Clinical variables
Meal interval 1(2.2%) 1(2.2%)
# of drinking water per day 1(2.2%) 2(4.4%)
Amount of water for drinking per cup 1(2.2%) 4(8.9%)
Average water temperature 2(4.4%) 6(13.3%)
Stool amount 1(2.2%) 2(4.4%)
Stool type 2(4.4%) 5(11.1%)
Stool color 12(26.7%) 20(44.4%)
Urine color 1(2.2%) 3(6.7%)
Chills/Cold, Fevers/Heat 2(4.4%) 2(4.4%)
Only variables with non-response rates are displayed in the table.

3. 반복 측정에 따른 변화의 변수별 차이

두 번의 반복 측정 결과 변수별로 변동의 양상과 정도가 다양함을 확인하였다(Fig. 1). 예를 들어 오한(惡寒, Chills/Cold), 오열(惡熱, Fevers/Heat), 발한량(Sweat amount)의 경우, 전후 측정 간 변동이 0인 샘플이 각각 36, 36, 38명(전체 40명 중)으로 전반적으로 변동이 적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첫 식사시간(First meal time), 수면효율(Sleep efficiency), 하루 대변 횟수(# of stools per day), 대변 량(Stool amount), 대변 타입(Stool type), 소변 색(urine color) 변수는 두 시점 사이의 차이가 존재하는 샘플이 비교적 많았으며, 다양한 기울기의 추세 선을 확인하였다.


Fig. 1. 
Variations of Korean medicine variables in repeated measurements. x and y represent the 1st time point (pre) and the 2nd time point (post), respectively. The x-axis of each plot is the value of time 1 (e.g. # of meal per day_x) and the value of time 2 (e.g. # of meal per day_y) for a specific variable (e.g. # of meal per day), and the y-axis indicates value at two time points. The thickness of the band i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corresponding samples.

변수 별 두 시점의 차이 값의 분포를 확인하고 비교하기 위하여 모든 변수에 대해 정규화된 차이 값을 계산하였다(Fig. 2). 식사 간격(Meal interval), 입면시간(Bed time), 하루 음수 횟수(# of drinking water per day), 오한(惡寒, Chills/Cold), 오열(惡熱, Fevers/Heat), 발한량(Sweat amount)은 시점 간 차이가 없는 샘플이 총 40명 중 각각 27, 26, 29, 36, 36, 38명이며, 차이가 있더라도 정도가 작아 대부분 0에 가깝게 분포하였다. 표준편차 값도 각각 0.194, 0.344, 0.166, 0.077, 0.321, 0.151이다(Table 3). 반면, 첫 식사시간(First meal time)과 수면효율(Sleep efficiency), 하루 대변 횟수(# of stools per day), 대변 량(Stool amount), 대변 타입(Stool type), 소변 색(urine color)은 시점 간 차이의 표준편차가 0.645, 0.572, 0.729, 0.811, 0.602, 0.534로 그 정도가 크다. 그 외 나머지 변수들, 식사 횟수(# of meal per day), 하루 섭취 칼로리(Total calories per day), 수면시간(Sleeping duration), 수면의 질(Sleep quality), 음수 온도(Average water temperature), 소변 횟수(# of urine per day)의 시점 간 차이 샘플의 표준편차는 0.493, 0.429, 0.317, 0.486, 0.416, 0.333로 시점 간 차이가 있는 샘플과 증가 혹은 감소 경향을 보이는 샘플이 섞여 있었다.


Fig. 2. 
Distribution of normalized difference values between two time points of visualization chart variables. Each dot indicates individual samples. x-axis: 19 clinical variables of visualization chart, y-axis: normalized difference 2*y2j-y1j/y2j+y1j

Table 3.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variations of 19 clinical variables
Descriptive statistics Mean SD Quartiles Types of variable
Clinical variables Q1 Q2 Q3
# of meal per day 0.007 0.493 0 0 0 ratio
Total calories per day 0.049 0.429 0 0 0 ratio
First meal time -0.128 0.645 0 0 0 interval
Meal interval 0.039 0.194 0 0 0 ratio
Bed time -0.004 0.344 0 0 0.108 interval
Sleeping duration -0.06 0.317 0 0 0 ratio
Sleep quality -0.027 0.486 0 0 0.133 ratio
Sleep efficiency 0.024 0.572 0 0 0.067 ratio
# of drinking water per day 0.026 0.166 0 0 0 ratio
Amount of water for drinking per cup 0.127 0.441 0 0 0 ratio
Average water temperature -0.007 0.416 0 0 0 interval
# of stools per day -0.184 0.729 0 0 0 ratio
Stool amount 0.062 0.811 0 0 0.056 ratio
Stool type 0.005 0.602 -0.017 0 0 ordinal
# of urine per day -0.071 0.333 0 0 0 ratio
Urine color 0.039 0.534 0 0 0 ordinal
Chills/Cold -0.019 0.077 0 0 0 ordinal
Fevers/Heat -0.065 0.321 0 0 0 ordinal
Sweat amount 0 0.151 0 0 0 ordinal
Mean and SD are the values calculated as the normalized difference between time point 1 and time point 2. Q1, Q2 and Q3 are the quartiles in the normalized difference distribution of the variable. ratio, ratio variable; interval, interval variable; ordinal, ordinal variable.

4. 한의학 변수들의 두 시점 간 공통된 변화요소(α21) 추정

시범적 분석 데이터 19개의 한의 임상 변수 각각에서 관찰된 변동량을 구성하는 요소를 가능한 구체적으로 분해하여 파악하기 위하여, 시점 2와 시점 1 사이의 공통된 변동 양상 α21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시범적 데이터 분석에서 특정 변수(e.g. # of meal per day)의 시점 1의 값(e.g. # of meal per day_x)과 시점 2의 값(e.g. # of meal per day_y)의 차이는 곧 시간의 흐름에 따른 샘플들의 공통적인 변화 경향이다. 이를 통해 시간의 변화(6개월)에 따른 변수 각각의 변화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샘플이 정규분포를 따르는지 검정하기 위한 정규성 검정 결과, 모든 변수가 유의수준 0.05에서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p-value < 0.05), 각 변수마다 부트스트랩 기법을 이용하여 95% 부트스트랩 신뢰구간을 추정하였다(Table 4). 귀무가설을 α21=0 으로 설정하였을 때 모든 변수들이 시점 1과 시점 2 사이에 유의미한 공통된 변화는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관측된 변수들의 변동량 중에 측정시점의 차이에 따른 공통요인으로 설명할 수 있는 유의미한 요소는 없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시범데이터의 두 측정시점이 샘플마다 달랐다는 한계를 감안할 때 고찰에서 논의하는 내용과 같은 해석에 한계가 있다.

Table 4. 
Point estimates and confidence intervals for variations of 19 variables.
Point estimates, CI Mean 95% bootstrap CI
Clinical variables
# of meal per day 0.007 (-2.0, 0.67)
Total calories per day 0.05 (-0.35, 2.0)
First meal time -0.127 (-2.0, 1.33)
Meal interval 0.039 (-0.29, 0.63)
Bed time -0.003 (-0.18, 0.5)
Sleeping duration -0.06 (-0.67, 0.67)
Sleep quality -0.028 (-2.0, 0.68)
Sleep efficiency 0.024 (-1.84, 2.0)
# of drinking water per day 0.027 (-0.23, 0.34)
Amount of water for drinking per cup 0.127 (-0.33, 2.0)
Average water temperature -0.007 (-0.67, 2.0)
# of stools per day -0.184 (-2.0, 1.2)
Stool amount 0.062 (-2.0, 2.0)
Stool type 0.005 (-2.0, 2.0)
# of urine per day -0.07 (-0.5, 1.36)
Urine color 0.039 (-2.0, 1.0)
Chills/Cold -0.019 (-0.29, 0.0)
Fevers/Heat -0.064 (-2.0, 0.0)
Sweat amount 0 (-0.02, 0.67)
CI, confidence interval

5. 반복측정 시 관찰된 차이 값에서 두 시점 간 공통된 변화요소 α21를 제외한 요소 y2j-y1j-α2-α1 분석

우리가 구축한 수학모델에서 두 측정 시점 간의 변동량은 (α21), (γ2j1j), 그리고 (ε2j1j) 세 요소로 구성된다. 앞서 통계적으로 추론가능한 (α21)을 추정한 결과가 0이었으므로, 이론적으로는 관측된 변동량이 개별 샘플에서의 실제 시그널 변화이거나 단순 측정오차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시범데이터에서 측정시점이 샘플마다 달랐기 때문에 이론적인 결론을 본 데이터에 그대로 적용하기는 힘들다.


고 찰

본 연구는 한의학 임상 변수의 반복 측정 시 관찰되는 변동량을 구성하는 세 가지 요소의 수학적 모형을 제시하고, 시범적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모형의 실제 데이터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의학 변수는 측정의 불확실성, 표준 참고 수치 등에 대한 인식이 있지만, 개인의 정상 변동량에 대한 논의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혈압 측정의 예에서, 정상인임에도 불구하고 흰 가운을 입은 의사만 보면 혈압이 올라가는 화이트 코트(White Coat) 증후군11)의 경우, 불필요한 처치를 피하기 위해서는 혈압의 정상 변동량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측정 오차 이외의 여러 요소에 따른 변동의 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있지만, 보다 체계적인 문제 인식과 해결방안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한의학 변수의 경우, 서양의학의 변수보다 부정확하게 측정될 확률이 높고, 한의 진단과정에서 이 문제는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임상 변수 개개의 중요성에 주목하기보다 증상 가중치 조합의 패턴을 찾는 '변증'이라는 한의학 고유의 독특한 과정12)때문에, 수면 시간이나 음수 온도와 같은 한의 변수가 주 관찰 요인이 되지만, 이에 대한 정량적 측정 및 정상변동량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 따라서 정상 변동량에 대한 재논의가 이루어져야 측정 변수들 각각의 정상 변동 범위가 어떠해야 하는지 객관적인 한의학 교육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저자들이 아는 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그 필요성과 정량적인 모형을 제안한 최초의 연구이다.

결과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 분석한 시범데이터는 샘플마다 측정 시점이 다른 한계로 인하여, 이론적으로 추론 가능하다고 예상했던 α21항을 정확하게 추론하지 못하였다. 모형에서 이 항은 측정 기간의 변화에 따른 공통된 변화를 나타내며 계절과 같은 시간적 변화나, 반복 측정과 노출에 따른 변화 등을 모두 포함하지만, 본 시범 데이터의 경우 시간적 변화와 같은 공통적 요인이 α21에 포함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요소는 실제 동일한 시점에 데이터 수집이 이뤄지면 해결될 부분이다.

본 모형에서 가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명확히 분해되지 않는 두 요소(측정 오차 ε2j1j와 시그널 변동 γ2j1j)가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하여 간접적으로 추론을 시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시범데이터의 미 응답 비율은 변수 별로 큰 차이를 보였는데(Table 2), 예를 들어 대변 색(Stool color) 변수의 경우, 다른 변수에 비하여 월등히 응답률이 낮게 나타났다(44.4%). 만약 미 응답 비율이 응답자의 측정 난이도를 반영한 것으로 가정하면(즉, 자신의 신체상태에 대한 기억과 판단의 어려움), 미 응답률이 높은 변수 들에서 관찰된 변동량의 ε2j1j가 γ2j1j에 비하여 높을 것으로 추론해볼 수 있다. 물론 본 연구에서 이에 대한 객관적인 근거를 확보할 수는 없으며, 추후 이에 대한 연구가 이루지면 설문 기반의 결측 데이터 분석에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

본 연구의 제한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의학 변수들의 변동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2회 반복 측정 데이터를 가정하고 모델링을 하였으며 시범 분석 데이터 역시 2회 반복 측정만 이루어졌다. 향후 변수 별 변동량을 추론하기 위하여 체계적인 디자인과 많은 횟수의 반복 측정이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는 설문 대상자가 비교적 젊고 건강한 사람들이므로 실제 환자에게 본 모델링이 타당성 있게 적용될 지 확인이 필요하고,13) 샘플 수 역시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델을 확대 적용하기 위하여 대량의 샘플 수 확보가 필수적이며, 환자군에서 적용 및 정상군과 환자군을 비교하는 연구설계 및 연구 대상자 확보가 필요하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한의사들이 늘 마주치는 임상변수들의 변동량에 대하여, 해석 가능한 구성요소를 객관적으로 파악해야 할 필요성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수학적 모형 및 실제 데이터 적용 분석의 사례를 제시한 의미가 있다. 향후 체계적인 방식으로 한의 임상 변수들의 변동량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지면, 이를 바탕으로 보다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한의임상 교육을 기대한다.


결 론

본 연구는 한의임상 변수의 반복 측정 시 관찰되는 변동량을 설명하는 세 가지 구성요소 -반복측정에 따른 공통변화량, 개별적인 변수의 실제 변화를 의미하는 시그널 변동량, 그리고 측정오차의 수학적 모형과 추론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시범적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모형의 실제 데이터 적용 가능성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형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향후 한의 임상 및 교육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보다 구체화된 변수 별 각 구성요소의 변동량에 대한 조사를 기대하며, 최종적으로 한의임상에서 다루어지는 각 변수들이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정상적인 상황에서도 변동되는지에 대한 명확한 인식을 바탕으로 실제 임상에서 의미있는 변화를 추정 및 판단하게 되기를 희망한다.


Acknowledgments

이 과제는 부산대학교 기본연구지원사업(2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O'Brien E, Petrie J, Littler W, de Swiet M, Padfield PL, O'Malley K, et al. The British Hypertension Society protocol for the evaluation of automated and semi-automated blood pressure measuring devices with special reference to ambulatory systems. J Hypertens. 1990;8(7):607-19.
2. Gianfranco Parati, J.Philip Saul, Marco Di Rienzo, and Giuseppe Mancia. Spectral Analysis of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Variability in Evaluating Cardiovascular Regulation. Hypertension. 1995;25(6):1276-86.
3. Lee S, Dajani H.R., Rajan S, Lee G, Groza V.Z. Uncertainty in Blood Pressure Measurement Estimated Using Ensemble-Based Recursive Methodology. Sensors 2020. 2020;20(7).
4. Song NK, Kim JK, Shin SH, Kim YH, Hwang GD, Choi SM. A study for the objective diagnosis by statistical analysis to the Bian Zheng questionnaire. Korean Institue of Oriental Medicine. 2005;11(1):127-38.
5. Jiang M, Cheng L, Zhang C, Yang J, Tan Y, Lu A, et al. Syndrome differentiation in modern research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12;140(3):634-42.
6. Luis Carlos Matos, Jorge Pereira Machado, Fernando Jorge Monteiro, Henry Johannes Greten. Ca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diagnosis be parameterized and standardized? A narrative review. Healthcare. 2021;9(2):177.
7. A, Agresti. Categorical data Analysis. 2nd ed. Wiley;2003.
8. P Royston. Approximating the Shapiro-Wilk W-test for non-normality. Statistics and computing. 1992;2:117-19.
9. Efron, B. Bootstrap methods: another look at the jack-knife. Annals of Statistics. 1979;7:1-26.
10. Efron, B. and Tibshirani, R. An introduction to the bootstrap. Chapman & Hall, New York. 1993.
11. Pickering TG, James GD, Boddie C, Harshfield GA, Blank S, Laragh JH. How Common Is White Coat Hypertension? JAMA. 1988;259(2):225-28.
12. G.M. The foundations of Chinese medicine: a comprehensive text for acupuncturists and herbalists. Edinburgh. 1989;3-229.
13. Kim BS, Lim JH, Lee MH, Yun YJ. Reliability Study of the Pattern Identification Questionnaire Developed by Korean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J Korea Instit Orient Med Diagn. 2013;17(1):29-43.

[부록 1]